카테고리 없음
내유동성 아스팔트 혼합물 표준 해설 (SPS-KAI0001-0697)
성우포장건설
2025. 4. 10. 13:35
내유동성 아스팔트 혼합물_적부확인년도 수정.pdf
0.41MB
▶ 내유동성이란?
‘내유동성 아스팔트 혼합물(Rut Resistant Asphalt Concrete)’이란
소성변형(Rutting)에 강한 아스팔트 혼합물을 말합니다.
기존 밀립도 혼합물의 단점을 개선하여,
고온·중차량·지속교통에 의한 변형을 억제하도록 설계된 구조입니다.
▶ 이 표준이 만들어진 배경
- 기후 변화 + 교통량 증가 + 차량 대형화로 인해
- 도로 표면의 소성변형(Rutting)이 빠르게 증가 중
- 기존 기술만으로는 대응 한계 → 새로운 배합 기술 필요
그 해법으로 탄생한 것이 바로
내유동성 아스팔트 혼합물, 줄여서 **‘내유아’**입니다.
▶ 핵심 적용 범위
- 기층용/표층용 아스팔트 혼합물 전반
- 신규 포장 및 덧씌우기 공사 모두 적용 가능
- SMA나 PMA처럼 별도 설비 없이 기존 플랜트 생산 가능
▶ 재료 기준
구성 재료기준 또는 특징
아스팔트 | KS M 2201 또는 KS M 2208 (비개질) |
골재 | KS F 2357 기준 / 입도 조합 허용 / 부순골재 권장 |
채움재 | KS F 3501 기준 적합한 것 |
※ 특히 자연모래는 피하고 부순모래 사용 권장 (소성변형 방지 목적)
▶ 혼합물 분류 및 명칭
명칭용도골재 공칭치수
내유동성-40 | 기층용 | 40mm |
내유동성-25 | 기층용 | 25mm |
내유동성-20 | 표층용 | 20mm |
내유동성-13 | 표층용 | 13mm |
※ 각 혼합물은 표준배합 입도범위(표 1, 2)를 만족해야 합니다.
▶ 품질기준 요약 (마샬시험 기준)
항목기층용표층용
다짐횟수 | 50회 | 50회 (대형차량 시 75회) |
안정도 (N) | 4000 이상 | 6000 이상 (또는 7500) |
흐름값 (1/100cm) | 10–40 | 20–40 |
공극률 (%) | 3–8 | 3–6 |
포화도 (%) | – | 70–85 (또는 65–80) |
잔류안정도 (%) | – | 75 이상 |
※ 대형차량(1일 1000대↑) 통행 시 기준 상향 적용
▶ 주의할 점
- **휠트래킹 시험(동적안정도 800회/mm 이상)**을 권장
→ 대형차 교통량 많은 구간일수록 필요 - 공극률과 포화도 설계 목표값:
→ 공극률 5%, 포화도 70%로 배합설계 권장
→ 이유: 장기 누적다짐 고려
▶ 요약 포인트
- 내유동성 혼합물은 ‘내구성 강화용 특수 아스콘’
- 별도 설비 없이 기존 플랜트로 생산 가능
- 밀립도보다 소성변형 저항성 뛰어남
- KS기반 마샬시험 + 휠트래킹시험으로 성능 평가